노동위원회법시행령

[시행 1953. 4. 20.][대통령령 제00784호, 1953. 4. 20. 제정]


노동위원회법시행령


제1조

조문 연혁보기



중앙노동위원회와 특별노동위원회는 사회부장관이, 지방노동위원회는 특별시장 또는 도지사가 관리한다.


제2조

조문 연혁보기



중앙노동위원회는 사회부에, 지방노동위원회는 특별시와 도에 설치한다. 지방노동위원회에는 당해 특별시 또는 도명을 관용한다.


제3조

조문 연혁보기



노동위원회법(以下 法이라 한다) 제3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특별노동위원회의 설치와 그 명칭, 위치, 관할구역, 소관사무 및 위원 기타 특별노동위원회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4조

조문 연혁보기



노동위원회는 다른 법령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중앙노동위원회는 2이상의 특별시와 도에 걸친 사건과 전국적으로 특히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사건을, 지방노동위원회는 당해 특별시 또는 도관할구역내의 사건을 관장한다.


제5조

조문 연혁보기



중앙노동위원회의 위원은 사회부장관의 상신에 의하여 대통령이 임명한다. 중앙노동위원회의 근로자위원 또는 사용자위원은 2이상의 특별시와 도에 걸처서 조직된 노동조합 또는 사용자단체가 추천한 자 중에서 임명한다.


제6조

조문 연혁보기



지방노동위원회의 위원은 특별시장 또는 도지사의 내신에 의하여 사회부장관이 임명한다. 지방노동위원회의 근로자위원 또는 사용자위원은 당해 특별시 또는 도의 관할구역내에서 조직된 노동조합 또는 사용자단체가 추천한 자 중에서 임명한다.


제7조

조문 연혁보기



전2조의 노동조합 또는 사용자단체의 범위와 위원의 추천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사회부장관이 정한다.


제8조

조문 연혁보기



노동위원은 중앙노동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또는 특별노동위원회의 위원을 겸할 수 없다.


제9조

조문 연혁보기



노동위원으로 좌의 각호의 1에 해당할 때에는 임명권자인 대통령 또는 사회부장관이 관계노동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해면할 수 있다.

1. 위원으로서의 자격상실, 심신의 고장 또는 기타 사정으로 인하여 직무를 감당하지 못할 것으로 인정되는 때

2. 직무상의 의무를 위반하거나 기타 위원으로서 부적당한 비행이 있다고 인정되는 때


제10조

조문 연혁보기



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노동위원회사무국은 노동위원회의 일체사무를 관장한다.


제11조

조문 연혁보기



노동위원회사무국에 국장을 둔다. 중앙노동위원회사무국장은 서기관으로, 지방노동위원회사무국장은 사무관으로써 보한다. 국장은 위원장의 명을 받어 국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제12조

조문 연혁보기



노동위원회사무국에 국장이외에 좌의 공무원을 둔다. 사무관 주사 서기 전항의 공무원의 정원은 별도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3조

조문 연혁보기



법 제10조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노동위원회의 과반수 위원이 회의소집을 요청하고저 할 때에는 회의목적을 명시하고 요청위원이 서명날인한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


제14조

조문 연혁보기



사회부장관, 특별시장 또는 도지사는 소할노동위원회의 요청이 있거나 또는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관계직원으로 하여금 소할노동위원회의 회의에 출석하여 그 의견을 진술하게 할 수 있다.


제15조

조문 연혁보기



위원에게는 수당 또는 여비를 지급할 수 있다. 수당은 회의에 출석한 일수에 의하며 여비는 국내여비규정을 준용하여 지급하되 수당과 여비액은 별표와<%생략:별표0%> 같다.


제16조

조문 연혁보기



법 제11조제2항 단서중 정당한 이유라 함은 천재지변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말미아마 출석이 극히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제17조

조문 연혁보기



본령 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사회부장관이 정한다.

부칙

부 칙<대통령령 제784호, 1953. 4. 20.>

별표/서식

[별표 ] 노동위원의수당과여비액표

법령 연혁 목차

공포일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