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선거법

1950. 04. 12. 폐지제정, 시행일 1950. 04. 12., 공포일 1950. 04. 12.

법령 전문보기


제33조


선거구선거위원회는 의원후보자의 등록 마감후 적당한 기일과 장소를 정하여 의원후보자를 위한 합동연설회를 구, 시에 있어서는 1회이상, 군에 있어서는 각 읍, 면마다 1회식 개최케 하여야 한다. 합동연설회의 기일, 장소는 늦어도 5일전에 의원후보자 또는 선거사무장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합동연설회의 장소, 시간, 연설자등에 관하여는 각 의원후보자에게 공평한 방법으로 선거구선거위원회에서 정한다.

조문 연혁 목차

공포일 순
연혁

시행 1991. 12. 31.

법률 제04462호, 1991. 12. 31.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기탁금)①지역구후보자등록을 신청하는 자는 등록신청시에 1천만원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지역구선거관리위원회에 기탁하여야 한다.<개정 1991·12·31>②전국구후보자등록을 신청하는 정당은 후보자명부제출시에 후보자마다 1천만원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기탁하여야 한다.③제1항 및 제2항의 기탁금은 체납처분이나 강제집행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연혁

시행 1988. 3. 17.

법률 제04003호, 1988. 3. 17. 전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기탁금)①지역구후보자등록을 신청하는 자는 등록신청시에 2천만원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지역구선거관리위원회에 기탁하여야 한다. 다만, 정당의 추천을 받아 지역구후보자등록을 신청하는 자는 1천만원을 기탁하여야 한다.②전국구후보자등록을 신청하는 정당은 후보자명부제출시에 후보자마다 1천만원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기탁하여야 한다.③제1항 및 제2항의 기탁금은 체납처분이나 강제집행의 대상이 될 수 없다. [88헌가6 1989.9.81. 국회의원선거법(1988년 3월 17일 법률 제4003호 전문개정) 제33조 및 제34조는 헌법에 합치되지 아니한다.2. 위 법률 조항은 1991년 5월말을 시한으로 입법자가 개정할 때까지 그 효력을 지속한다.]

연혁

시행 1984. 7. 25.

법률 제03731호, 1984. 7. 25.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기탁금의 국고귀속등)후보자가 사퇴하거나 등록이 무효로 된 때 또는 후보자의 득표수가 당해 지역구의 유효투표총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는 때 또는 전국구후보자의 경우 그 소속정당의 전국구후보자중 당선자가 없는 때에는 그 후보자의 기탁금은 제57조제1항의 비용을 공제한 후 국고에 귀속한다. 다만, 유효투표총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더라도 당선된 때에는 제57조제1항의 비용을 공제한 후 기탁자에게 반환한다. 후보자가 사망한 때에도 또한 같다.<개정 1984·7·25>

연혁

시행 1981. 1. 29.

법률 제03359호, 1981. 1. 29. 폐지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기탁금의 국고귀속등)후보자가 사퇴하거나 등록이 무효로 된 때 또는 후보자의 득표수가 당해 지역구의 유효투표총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는 때에는 그 후보자의 기탁금은 제57조제1항의 비용을 공제한 후 국고에 귀속한다. 다만, 유효투표총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더라도 당선된 때에는 제57조제1항의 비용을 공제한 후 기탁자에게 반환한다. 후보자가 사망한 때에도 또한 같다.

연혁

시행 1978. 2. 15.

법률 제03093호, 1977. 12. 31.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기탁금의 국고귀속)후보자가 사퇴하거나 등록이 무효로 된 때 또는 후보자의 득표수가 당해 선거구의 유효투표총삭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는 때에는 그 후보자의 기탁금은 제55조의 규정에 의하여 후보자가 부담하여야 할 비용을 공제한 후 국고에 귀속한다. 다만, 유효투표총삭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더라도 당선된 자의 경우에는 제55조의 규정에 의하여 당해 후보자가 부담하여야 할 비용을 공제한 후 기탁자에게 반환한다. 후보자가 사망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연혁

시행 1973. 7. 1.

법률 제02603호, 1973. 3. 12.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기탁금의 국고귀속)후보자가 사퇴하거나 등록이 무효로 된 때 또는 후보자의 득표수가 당해 선거구의 유효투표총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는 때에는 그 후보자의 기탁금은 제55조의 규정에 의하여 후보자가 부담하여야 할 비용을 공제한 후 국고에 귀속한다. 다만, 유효투표총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더라도 당선된 자의 경우에는 제55조의 규정에 의하여 당해 후보자가 부담하여야 할 비용을 공제한 후 기탁자에게 반환한다. 후보자가 사망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연혁

시행 1972. 12. 30.

법률 제02404호, 1972. 12. 30. 폐지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기탁금의 국고귀속)후보자가 사퇴하거나 등록이 무효로 된 때 또는 후보자의 득표수가 당해 선거구의 유효투표총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는 때에는 그 후보자의 기탁금은 제55조의 규정에 의하여 후보자가 부담하여야 할 비용을 공제한 후 국고에 귀속한다. 다만, 유효투표총수의 3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더라도 당선된 자의 경우에는 제55조의 규정에 의하여 당해 후보자가 부담하여야 할 비용을 공제한 후 기탁자에게 반환한다. 후보자가 사망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연혁

시행 1970. 12. 22.

법률 제02241호, 1970. 12. 22.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선거운동의 한계)선거운동은 이 법에 규정된 이외의 방법으로 이를 할 수 없다.

연혁

시행 1969. 1. 23.

법률 제02088호, 1969. 1. 23.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선거운동의 한계)선거운동은 이 법에 규정된 이외의 방법으로 이를 할 수 없다.

연혁

시행 1966. 12. 14.

법률 제01849호, 1966. 12. 14.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선거운동의 한계)선거운동은 이 법에 규정된 이외의 방법으로 이를 할 수 없다.

연혁

시행 1963. 8. 6.

법률 제01383호, 1963. 8. 6.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선거운동의 한계)선거운동은 이 법에 규정된 이외의 방법으로 이를 할 수 없다.

연혁

시행 1963. 1. 16.

법률 제01256호, 1963. 1. 16. 폐지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선거운동의 한계)선거운동은 이 법에 규정된 이외의 방법으로 이를 할 수 없다.

연혁

시행 1961. 4. 28.

법률 제00606호, 1961. 4. 28.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후보자에 관한 공고)선거구선거위원회는 후보자가 등록, 사퇴, 사망하였거나 등록이 무효로 된 때에는 지체없이 이를 공고하며 상급선거위원회에 보고하고 하급선거위원회에 통지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61. 4. 28.

법률 제00605호, 1961. 4. 28.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후보자에 관한 공고)선거구선거위원회는 후보자가 등록, 사퇴, 사망하였거나 등록이 무효로 된 때에는 지체없이 이를 공고하며 상급선거위원회에 보고하고 하급선거위원회에 통지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60. 6. 23.

법률 제00551호, 1960. 6. 23. 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후보자에 관한 공고)선거구선거위원회는 후보자가 등록, 사퇴, 사망하였거나 등록이 무효로 된 때에는 지체없이 이를 공고하며 상급선거위원회에 보고하고 하급선거위원회에 통지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51. 6. 23.

법률 제00204호, 1951. 6. 2.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선거구선거위원회는 의원후보자의 등록 마감후 적당한 기일과 장소를 정하여 의원후보자를 위한 합동연설회를 구, 시에 있어서는 1회이상, 군에 있어서는 각 읍, 면마다 1회식 개최케 하여야 한다. 합동연설회의 기일, 장소는 늦어도 5일전에 의원후보자 또는 선거사무장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합동연설회의 장소, 시간, 연설자등에 관하여는 각 의원후보자에게 공평한 방법으로 선거구선거위원회에서 정한다.

연혁

시행 1950. 4. 12.

법률 제00121호, 1950. 4. 12. 폐지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선거구선거위원회는 의원후보자의 등록 마감후 적당한 기일과 장소를 정하여 의원후보자를 위한 합동연설회를 구, 시에 있어서는 1회이상, 군에 있어서는 각 읍, 면마다 1회식 개최케 하여야 한다. 합동연설회의 기일, 장소는 늦어도 5일전에 의원후보자 또는 선거사무장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합동연설회의 장소, 시간, 연설자등에 관하여는 각 의원후보자에게 공평한 방법으로 선거구선거위원회에서 정한다.

연혁

시행 1948. 12. 23.

법률 제00017호, 1948. 12. 23. 일부개정 |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각 선거구선거위원회에서 작성하여 국회선거위원회의 감독하에 인쇄한 통일투표용지와 국회선거위원회에서 작성하여 그 감독하에 인쇄하고 공식으로 날인한 통일봉투를 각 투표소에서 사용하여야 함. 각 투표소에서 사용하는 투표용지는 국회선거위원회에서 작성한 표준양식에 일치하여야 함. 각 투표용지에는 당해선거구에 입후보한 의원후보자의 성명을 인쇄하고 각 후보자의 성명상에 기호를 표하며 선거인이 택하는 후보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각 후보자성명하에 적당한 공간을 두어야 함. 후보자의 성명은 국문 급 한문으로 인쇄함. 투표용지 급 봉투에는 번호 기타의 기입을 하지 못함. 선거구선거위원회는 의원후보자등록마감 후 2일이내에 의원후보자 또는 기 대리인등이 삼석할 수 있는 회합에서 투표용지에 인쇄할 후보자성명의 순서를 추첨에 의하여 정하고 각 후보자에게 배정할 기호를 정함. 기호는 1획, 2획, 3획등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