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정책자문위원회 규칙
[시행 2016. 6. 30.][감사원규칙 제00290호, 2016. 6. 30. 일부개정]
감사원 정책자문위원회 규칙제1조((목적))
(목적) 감사원 운영방향, 중요 감사정책 등에 관하여 각계각층의 전문적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감사원장의 자문기구로서 감사원 정책자문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개정 2016.6.30>제2조((기능))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개정 2016.6.30>1. 감사원의 감사운영 방향에 관한 사항2. 감사원의 권한 및 지위·기능에 관한 사항3. 중요 감사정책과 미래 감사전략 등에 관한 사항4. 그 밖에 감사원장이 요청하는 사항제3조((구성))
(구성)①위원회는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한 15명 이내의 비상임위원으로 구성한다. <개정 2016.6.30>②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互選)하고, 부위원장은 위원장이 지명한다. <개정 2016.6.30>③위원은 각 국·단별 자문위원을 중심으로 하여 풍부한 경험과 전문적 식견을 가진 인사 중에서 감사원장이 위촉한다.제4조((임기))
(임기) 위원의 임기는 위촉된 날부터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개정 2016.6.30>제5조((위원장 등의 임무))
(위원장 등의 임무)①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한다. <개정 2016.6.30>②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부위원장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6.6.30>제6조((회의))
(회의)① 위원회의 회의는 정기회의와 수시회의로 운영하며, 정기회의는 매년 상·하반기 각 1회 개최하고 수시회의는 감사원장이 요청한 경우에 개최한다. <개정 2016.6.30>②위원회 회의는 위원장이 소집하고, 위원장이 의장이 된다.③감사원의 각 실·국장 및 그 밖의 관계인은 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회의에 참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개정 2016.6.30>제7조((간사 업무 등))
(간사 업무 등)① 위원회에 간사 1명과 부간사 1명을 두며, 간사는 기획조정실장이, 부간사는 기획담당관이 각각 된다. <개정 2016.6.30>②간사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개정 2016.6.30>1. 위원장의 위원회 운영에 관한 보좌2. 위원회의 업무에 관한 사무처리3. 위원에 대한 자료협조4. 위원회 회의록 작성 및 보존 등5. 감사원장에게 위원회의 심의 결과 보고제8조((소위원회 운영))
(소위원회 운영) 위원장은 위원회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시 일부 위원으로 구성되는 소위원회를 둘 수 있다. <개정 2016.6.30>제9조((자료제출 등 협조))
(자료제출 등 협조) 위원은 그 직무를 수행할 때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간사를 통하여 자료의 제출이나 의견의 제시 등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개정 2016.6.30>제10조((위원의 수당))
(위원의 수당)①위원회에 출석한 위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개정 2016.6.30>②조사·연구 또는 그 밖의 용역업무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 위원에게는 비용 및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개정 2016.6.30>③제1항과 제2항의 규정에 따른 수당 등의 지급기준은 감사원장이 따로 정한다. <개정 2016.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