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법

1961. 07. 12. 일부개정, 시행일 1961. 07. 12., 공포일 1961. 07. 12.

법령 전문보기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


본법에 규정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 국무원령으로 정한다.

조문 연혁 목차

공포일 순
현행

시행 2024. 6. 27.

법률 제20289호, 2024. 2. 13.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8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 2023.3.4>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4. 6. 27.

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8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 2023.3.4>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4. 5. 27.

법률 제20145호, 2024. 1. 26.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8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 2023.3.4>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4. 5. 17.

법률 제20309호, 2024. 2. 13.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8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 2023.3.4>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4. 1. 1.

법률 제17646호, 2020. 12. 15.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3. 6. 5.

법률 제19270호, 2023. 3. 21.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8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 2023.3.4>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3. 6. 5.

법률 제19228호, 2023. 3. 4.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8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 2023.3.4>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2. 1. 1.

법률 제17814호, 2020. 12. 3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1. 12. 30.

법률 제17799호, 2020. 12. 29.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1. 8. 9.

법률 제18293호, 2021. 7. 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0. 12. 10.

법률 제17384호, 2020. 6. 9.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0. 9. 12.

법률 제17472호, 2020. 8. 1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20. 8. 5.

법률 제16930호, 2020. 2. 4.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8. 6. 8.

법률 제15624호, 2018. 6. 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ㆍ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7. 10. 19.

법률 제14804호, 2017. 4. 18.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2조의2제3항에 따라 국민안전처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7. 7. 26.

법률 제14839호, 2017. 7. 26.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 차관(제29조제2항·제34조제3항 및 제3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 2017.7.26>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6. 1. 1.

법률 제13593호, 2015. 12. 22.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2조의2제3항에 따라 국민안전처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4. 11. 19.

법률 제12844호, 2014. 11. 19.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 차관(제22조의2제3항에 따라 국민안전처에 두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 이상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14.11.19>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3. 12. 24.

법률 제12114호, 2013. 12. 24.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3. 3. 23.

법률 제11690호, 2013. 3. 23. 전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 차관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1. 10. 26.

법률 제10912호, 2011. 7. 25.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5조제2항에 따라 정무직으로 보하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또는 차장(국무총리실의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0. 7. 5.

법률 제10339호, 2010. 6. 4.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5조제2항에 따라 정무직으로 보하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또는 차장(국무총리실의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10. 3. 19.

법률 제09932호, 2010. 1. 1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② 차관(제25조제2항에 따라 정무직으로 보하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또는 차장(국무총리실의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ㆍ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8. 2. 29.

법률 제08867호, 2008. 2. 29.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 차관(제25조제2항에 따라 정무직으로 보하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또는 차장(국무총리실의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8. 2. 29.

법률 제08852호, 2008. 2. 29. 전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 차관(제25조제2항에 따라 정무직으로 보하는 본부장을 포함한다) 또는 차장(국무총리실의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명인 기관의 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 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 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7. 11. 12.

법률 제08417호, 2007. 5. 11.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혁신사무와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사무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본부장)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인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04.9.23, 2005.3.24, 2005.7.22>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6. 7. 1.

법률 제07773호, 2005. 12. 29.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혁신사무와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사무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본부장)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인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04.9.23, 2005.3.24, 2005.7.22>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5. 7. 22.

법률 제07613호, 2005. 7. 22.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혁신사무와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사무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본부장)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차관 또는 차장이 2인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04.9.23, 2005.3.24, 2005.7.22>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5. 7. 1.

법률 제07289호, 2004. 12. 31.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혁신사무와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사무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본부장)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04.9.23>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5. 3. 24.

법률 제07413호, 2005. 3. 24.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혁신사무와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사무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본부장) 또는 차장(국무조정실 차장을 포함한다)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04.9.23, 2005.3.24>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5. 1. 1.

법률 제07256호, 2004. 12. 30.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혁신사무와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사무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본부장)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04.9.23>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4. 9. 23.

법률 제07217호, 2004. 9. 23.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혁신사무와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사무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본부장)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개정 2004.9.23>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4. 3. 11.

법률 제07186호, 2004. 3. 1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外交通商部의 通商交涉事務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本部長)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2. 1. 19.

법률 제06622호, 2002. 1. 19.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外交通商部의 通商交涉事務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本部長)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1. 1. 29.

법률 제06400호, 2001. 1. 29.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外交通商部의 通商交涉事務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本部長)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2000. 3. 13.

법률 제06139호, 2000. 1. 12.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外交通商部의 通商交涉事務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本部長)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1999. 8. 6.

법률 제05809호, 1999. 2. 5.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外交通商部의 通商交涉事務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本部長)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 및 국(外局을 말한다)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 또는 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1999. 5. 24.

법률 제05982호, 1999. 5. 24.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外交通商部의 通商交涉事務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本部長)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개정 1999.5.24>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1999. 1. 21.

법률 제05680호, 1999. 1. 2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外交通商部의 通商交涉事務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本部長)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 및 국(外局을 말한다)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 또는 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1998. 3. 1.

법률 제04892호, 1995. 1. 5.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98. 2. 28.

법률 제05529호, 1998. 2. 28. 전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행정기관의 장의 직무권한)①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②차관(外交通商部의 通商交涉事務에 관하여는 이를 담당하는 本部長) 또는 차장은 그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그 기관의 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③각 행정기관의 보조기관은 그 기관의 장, 차관 또는 차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④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소속청 및 국(外局을 말한다)에 대하여는 중요정책수립에 관하여 그 청 또는 국의 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⑤부·처의 장은 그 소관사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무총리에게 소관사무와 관련되는 다른 행정기관의 사무에 대한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연혁

시행 1996. 8. 8.

법률 제05153호, 1996. 8. 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96. 2. 9.

법률 제05150호, 1996. 2. 9.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94. 12. 23.

법률 제04831호, 1994. 12. 23.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93. 12. 12.

법률 제04568호, 1993. 6. 11.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93. 3. 6.

법률 제04541호, 1993. 3. 6.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91. 7. 8.

법률 제04371호, 1991. 5. 31. 타법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90. 12. 27.

법률 제04268호, 1990. 12. 27.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89. 12. 30.

법률 제04183호, 1989. 12. 30.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87. 1. 1.

법률 제03854호, 1986. 12. 20.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85. 1. 1.

법률 제03734호, 1984. 7. 25.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84. 1. 1.

법률 제03688호, 1983. 12. 30.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82. 3. 20.

법률 제03540호, 1982. 3. 20.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81. 12. 31.

법률 제03518호, 1981. 12. 3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경우에, 직무의 성질상 2개이상의 행정기관의 정원을 통합하여 관리함이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정원을 통합하여 정할 수 있다.<신설 1981·12·31>③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81. 4. 8.

법률 제03422호, 1981. 4. 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의 정원등)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80. 1. 1.

법률 제03220호, 1979. 12. 2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77. 12. 16.

법률 제03011호, 1977. 12. 16.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76. 12. 31.

법률 제02957호, 1976. 12. 3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76. 1. 31.

법률 제02886호, 1975. 12. 3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75. 7. 23.

법률 제02772호, 1975. 7. 23.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74. 12. 24.

법률 제02713호, 1974. 12. 24.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73. 3. 3.

법률 제02557호, 1973. 3. 3.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73. 1. 15.

법률 제02437호, 1973. 1. 15. 전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공무원)①각 행정기관에 배치할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②제1항의 대통령령에는 공무원 배치의 기준 및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연혁

시행 1970. 8. 3.

법률 제02210호, 1970. 8. 3.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70. 1. 1.

법률 제02148호, 1970. 1. 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8. 7. 24.

법률 제02041호, 1968. 7. 24.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7. 3. 30.

법률 제01947호, 1967. 3. 30.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7. 1. 1.

법률 제01831호, 1966. 8. 3.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6. 2. 28.

법률 제01752호, 1966. 2. 2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6. 2. 28.

법률 제01750호, 1966. 2. 2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4. 12. 31.

법률 제01678호, 1964. 12. 3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4. 8. 14.

법률 제01653호, 1964. 8. 14.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3. 12. 17.

법률 제01506호, 1963. 12. 14. 전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예산조치와의 병행)행정기관 또는 소속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예산상의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혁

시행 1963. 9. 1.

법률 제01395호, 1963. 8. 26.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에 관한 사항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각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2. 6. 18.

법률 제01092호, 1962. 6. 18.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에 관한 사항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각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2. 5. 10.

법률 제01066호, 1962. 5. 10.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에 관한 사항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각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2. 4. 1.

법률 제01038호, 1962. 3. 2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에 관한 사항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각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1. 10. 2.

법률 제00734호, 1961. 10. 2. 폐지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와 정원에 관한 사항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각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1. 8. 25.

법률 제00698호, 1961. 8. 25.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 국무원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1. 8. 22.

법률 제00687호, 1961. 8. 22.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 국무원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1. 7. 22.

법률 제00660호, 1961. 7. 22.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 국무원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1. 7. 12.

법률 제00655호, 1961. 7. 12.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 국무원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1. 6. 22.

법률 제00631호, 1961. 6. 22.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 국무원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1. 6. 16.

국가재건최고회의령 제00014호, 1961. 5. 26.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 국무원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60. 7. 1.

법률 제00552호, 1960. 7. 1. 전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직제·공무원에 관한 규정)본법에 규정한 행정기관의 직제, 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 국무원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56. 2. 1.

법률 제00384호, 1956. 2. 1.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본법에 규정된 각 기관의 직제·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정한 것을 제외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55. 2. 7.

법률 제00354호, 1955. 2. 7. 전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본법에 규정된 각 기관의 직제·공무원의 종류·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본법에 정한 것을 제외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49. 4. 15.

법률 제00022호, 1949. 3. 25. 일부개정 | 정부조직법

・제7조본법에 규정된 각 기관의 직제ㆍ공무원의 종류ㆍ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연혁

시행 1948. 7. 17.

법률 제00001호, 1948. 7. 17. 제정 | 정부조직법

・제7조본법에 규정된 각 기관의 직제ㆍ공무원의 종류ㆍ정원과 보수에 관한 규정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