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행정처분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등의 이유로 그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였으나 그 청구가 받아들여지지 아니하는 판결이 확정되어 법원의 소송절차에 의하여서는 더 이상 이를 다툴 수 없게 된 경우에, 당해 행정처분 자체의 위헌성 또는 그 근거법규의 위헌성을 주장하면서 그 취소를 구하는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소극)

재판요지

원행정처분에 대하여 법원에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패소판결을 받고 그 판결이 확정된 경우에는 당사자는 그 판결의 기판력에 의한 기속을 받게 되므로, 별도의 절차에 의하여 위 판결의 기판력이 제거되지 아니하는 한, 행정처분의 위법성을 주장하는 것은 확정판결의 기판력에 어긋나므로 원행정처분은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며, 뿐만 아니라 원행정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를 허용하는 것은, “명령·규칙 또는 처분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는 대법원은 이를 최종적으로 심사할 권한을 가진다.”고 규정한 헌법 제107조 제2항이나, 원칙적으로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에서 법원의 재판을 제외하고 있는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의 취지에도 어긋난다. 재판관 이영모의 의견 법원의 재판을 거친 원행정처분의 경우에, 그 원행정처분이 헌법 소원 심판대상이 되려면 위헌인 법률을 합헌으로 해석·적용함으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당해 재판 자체가 헌법소원 심판대상이 되는 한도내에서, 그 재판과 같이 원행정처분도 헌법소원 심판대상으로 되는 것이지, 그 원행정처분만을 따로 떼어내어 헌법소원 심판대상으로 삼을 수는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법원의 재판을 취소하지 않고, 원행정처분만을 취소하는 결정을 하는 것은 확정판결의 기판력에 저촉되어 법적 안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헌법과 헌법재판소법의 각 규정을 살펴보아도 이와 같은 결정을 할 수 있는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재판관 이재화, 고중석, 한대현의 별개의견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이 헌법소원의 심판대상에서 ‘법원의 재판’을 제외한 것은 위 조항 단서의 보충성의 원칙과 결합하여 법원의 재판자체 뿐만 아니라 재판의 대상이 되었던 원행정처분도 제외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 왜냐하면 원행정처분에 대하여 헌법소원심판을 하는 것은 단순한 행정작용에 대한 심사가 아니라 사법작용에 대한 심사와 행정작용에 대한 심사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 되고, 결국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금지된 사법작용에 대한 심사를 행하는 것이 되어 결과적으로 법원의 재판에 대한 헌법소원을 사실상 허용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어서, 원행정처분은 언제나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재판관 조승형의 반대의견 ‘법원의 재판’에 대한 직접적인 소원과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 1항 단서에 규정하고 있는 ‘권리구제절차로서의 재판’을 거친 원공권력작용에 대한 소원은 명백히 구분하여야 할 것이므로 구제절차로서 ‘재판’을 거친 원공권력작용도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며, 따라서 행정처분은 공권력인 입법·행정·사법작용 중 행정작용의 대표적인 행위형식으로써 그 행사나 불행사로 인하여 기본권을 침해 받은 경우에는 비록 권리구제절차로서 행정소송의 ‘재판’을 거친 행정처분의 경우라 하더라도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된다. 또한 헌법 제107조 제2항은 “명령·규칙 또는 처분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되는 경우에는 대법원은 이를 최종적으로 심사할 권한을 가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헌법조항의 문언에 따르더라도 처분자체의 위헌·위법성이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만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그 경우를 제외하고는 처분자체에 의한 직접적인 기본권 침해를 다투는 헌법소원이 모두 가능하다.

참조조문

헌법 제107조 제1항·제2항, 제111조 제1항 제5호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

사건
91헌마98,93헌마253(병합) 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에 대한 헌법소원
청구인
1. 한○남 (91헌마98)
대리인 변호사 ○○○
2. 정○근 (93헌마253)
대리인 변호사 ○○○
피청구인
1. 강동세무서장 (91헌마98)
2. 부산진세무서장 (93헌마253)
결정일
1998. 5. 28.

주 문

청구인들의 이 사건 청구를 모두 각하한다.

이 유

1. 사건의 개요 및 심판의 대상 가. 사건의 개요 (1) 91헌마98 사건 (가) 청구인은 1959. 12. 14. 서울 강동구 ○○동 전 1,094㎡의 4분의 1 지분을 취득하였는데, 위 토지는 1981년경 구획정리사업으로 같은 동 314의 5 대 488.2㎡로 환지되고 위 환지된 토지는 1985. 8. 30. 같은 동 314의 5 대 159.5㎡(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외 1필지로 분할되었으며, 청구인은 1988. 9. 30. 그 소유인 이 사건 토지를 타에 양도하였다. (나) 그런데 강동세무서는 이 사건 토지가 청구인의 취득당시에는 특정지역에 해당하지 아니하였으나 양도당시에는 국세청장이 고시한 특정지역에
회원에게만 공개되는 판례입니다.

지금 가입하고 4,608,100건의
판례를 무료로 이용하세요

빅케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업무에 활용하세요

판례 요청

판례 요청하면 15분 내로 도착

서면으로 검색

서면, 소장, 의뢰인과의 상담문서까지

쟁점별 판례보기

쟁점 키워드별 판례 보기

Ai 요점보기

판결문의 핵심 내용만 빠르게

가입하고 판례 전문 보기

이미 빅케이스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관련 논문 13
사법(司法)의 신뢰 회복을 위한 개헌의 주요 쟁점
정태호 | 한국법제연구원 | 2021
사법제도 개혁을 위한 헌법 구조적 대안 연구 ― 헌법재판소법 개정을 통한 재판소원제도 도입론 ―
손형섭 | 한국공법학회 | 2019
헌법
정인영 | 고시계사 | 2015
제3회(2014년) 변호사시험 선택형 기출문제 해설 : 공법
편집부 | 고시계사 | 2014
전부 개정되기 전의 법률 조항 적용을 둘러싼 헌재와 대법원의 갈등 : 헌재 2012. 5. 31. 2009헌바123 사건에 대한 평석
정주백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4
선행 과세처분의 근거 법률이 위헌선고된 경우, 과세채권의 집행을 위한 후행 체납처분의 효력 : 대법원 2012. 2. 16. 선고 2010두10907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
성중탁 | 한국법학원 | 2013
“재판의 전제성” -그 개념의 굴곡의 헌법사-
신우철 | 한국법사학회 | 2010
기본권보호제도로서 헌법소원제도의 필요충분조건
전정환 | 법학연구소 | 2008
대법원의 명령ㆍ규칙심사권의 의미와 한계
차진아 | 대한변호사협회 | 2007
헌법 - 주제발표 (한국 헌법재판의 現況과 發展方向)
한수웅 | 한국법학원 | 2006
判例取消 등 憲法訴願 : 憲裁決 1999.9 16, 98헌마265
金起暎 외 1명 |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 2000
1998년도 憲法裁判所判例 총정리(요약) ⑨
편집부 | 고시연구사(월보) | 1999
1998년도 憲法裁判所判例 총정리(요약) ⑧
편집부 | 고시연구사(월보) |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