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1] 언론매체의 기사가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인지 여부의 판단 기준 [2] 언론매체의 명예훼손행위에 있어서 그 위법성 조각사유인 '보도 내용이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의 존부에 대한 판단 기준 [3] 사실을 적시하는 표현행위뿐만 아니라 의견 또는 논평을 표명하는 표현행위에 의하여도 민사상의 명예훼손이 성립되는지 여부(한정 적극)

재판요지

[1] 신문 등 언론매체가 특정인에 대한 기사를 게재한 경우 그 기사가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인지의 여부는 기사의 객관적인 내용과 아울러 일반 독자가 기사를 접하는 통상의 방법을 전제로 기사의 전체적인 흐름, 사용된 어휘의 통상적인 의미, 문구의 연결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기사가 독자에게 주는 전체적인 인상도 그 판단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2] 언론매체의 보도를 통한 명예훼손에 있어서 행위자가 보도 내용이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지의 여부는 적시된 사실의 내용, 진실이라고 믿게 된 근거나 자료의 확실성과 신빙성, 사실 확인의 용이성, 보도로 인한 피해자의 피해 정도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행위자가 보도 내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절하고도 충분한 조사를 다하였는가, 그 진실성이 객관적이고도 합리적인 자료나 근거에 의하여 뒷받침되는가 하는 점에 비추어 판단하여야 한다. [3] 사실을 적시하는 표현행위뿐만 아니라 의견 또는 논평을 표명하는 표현행위도 그와 동시에 묵시적으로라도 그 전제가 되는 사실을 적시하고 있다면 그에 의하여 민사상의 명예훼손이 성립할 수 있다.

원고, 피상고인 겸 부대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호합동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
피고, 상고인 겸 부대피상고인
한겨레신문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명 담당변호사 ○○○ ○ ○○)

주 문

피고의 상고와 원고의 부대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 및 부대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의 상고에 대하여 가. 제1, 2, 4점에 대하여 신문 등 언론매체가 특정인에 대한 기사를 게재한 경우 그 기사가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인지의 여부는 기사의 객관적인 내용과 아울러 일반 독자가 기사를 접하는 통상의 방법을 전제로 기사의 전체적인 흐름, 사용된 어휘의 통상적인 의미, 문구의 연결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기사가 독자에게 주는 전체적인 인상도 그 판단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97. 10. 28. 선고 96다38032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가 자신이 발행하는 1997. 4. 1.자 한겨레신문 제3면에, "이승만 정권-미군정 합작 최소 2만명 무차별 학살"이라는 제목하에, '제주 4·3 항쟁이 이승만 대통령의 지휘 아래 불법적으로 공포된 계엄령을 근거로 하여 무차별 살상과 함께 진압됐다.', '제주도에선 당시 군경토벌작전 과정에서 최소 2만명에서 최대 8만명까지 살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토벌대는 중산간마을 초토화작전을 전개하면서 팔순 노인에서부터 서너살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살육하는 만행을 저질렀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하여, 제주 4·3 사건 당시 '이승만 정권이 미군정과 공모하여 의도적으로' 제주도의 무고한 양민들을 학살하였다는 취지의 보도를 하였다고 인정한 다음,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일부 무고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실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승만 정권이 미군정과 공모하여 의도적으로' 제주도의 무고한 양민들을 학살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아무런 증거가 없는 이 사건에 있어서, 피고는 위와 같이 진실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사실을 담은 기사를 보도함으로 인하여 망 이승만의 사회적 평가와 아울러 그의 유족인 원고 자신의 사회적 평가 내지 고인에 대한 명예감정, 추모감정을 침해하여 명예를 훼손하였다고 판단하고 있는바,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 또는 심리미진으로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나, 언론보도에 의한 명예훼손에 관하여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제주 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은 제주 4·3 사건의 진상 규명 등을 위하여 위원회를 두고, 그 위원회로 하여금 제주 4·3 사건 관련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그 진상을 조사하도록 규정하고 있기는 하나, 그 위원회에 의한 진상조사가 자유심증에 의한 법관의 사실인정 권한까지 제한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원심이 그 위원회에 의한 진상조사를 기다리지 아니하고 위 기사의 진실 여부를 판단하였다고 하여 그것을 가지고 위법이라고 할 수도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나. 제3점에 대하여 언론매체의 보도를 통한 명예훼손에 있어서 행위자가 보도 내용이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지의 여부는 적시된 사실의 내용, 진실이라고 믿게 된 근거나 자료의 확실성과 신빙성, 사실 확인의 용이성, 보도로 인한 피해자의 피해 정도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행위자가 보도 내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절하고도 충분한 조사를 다하였는가, 그 진실성이 객관적이고도 합리적인 자료나 근거에 의하여 뒷받침되는가 하는 점에 비추어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대법원 1998. 10. 27. 선고 98다24624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피고 또는 그 소속 담당기자가 기사 내용의 진실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을 다하였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없으니 피고가 기사의 내용이 진실하다고 믿은 데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여지지 아니한다고 판단한 것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명예훼손의 위법성에 관하여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2. 원고의 부대상고에 대하여 사실을 적시하는 표현행위뿐만 아니라 의견 또는 논평을 표명하는 표현행위도 그와 동시에 묵시적으로라도 그 전제가 되는 사실을 적시하고 있다면 그에 의하여 민사상의 명예훼손이 성립할 수 있다고 할 것이므로(대법원 1999. 2. 9. 선고 98다31356 판결 참조), 원심이 의견이나 견해의 표명만으로는 어떠한 경우에도 명예훼손이 성립하지 아니한다는 취지로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 기록에 의하면, 피고가 게재한 이 사건 기사 중 계엄의 불법성에 관한 부분은 '계엄법은 1949. 11. 24.에야 비로소 제정되었는데, 최근 총무처 산하 정부문서기록보존소에서 나온 제주도지구 계엄선포 관련 문건에 따르면, 이승만정권은 계엄법을 제정하기도 전인 1948. 11. 17.에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이 사건 계엄을 선포한 것으로 밝혀졌으니 결국 이 사건 계엄은 법적 근거 없이 이승만 정권에 의하여 불법적으로 선포된 것이 틀림없다.'는 취지임을 알아 볼 수 있는바, 그렇다면 피고는 이 사건 기사로 계엄이 불법이라는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면서 그와 같이 보는 근거 즉, 그 의견의 기초가 되는 사실까지 따로 밝히고 있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가 표명한 의견 부분은 이른바 순수의견으로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가 될 여지가 없다고 할 것이고, 한편 피고가 따로 밝히고 있는 의견의 기초가 되고 있는 사실, 즉 '계엄법이 1949. 11. 24.에 제정되었다는 사실'과 '이승만 정권이 1948. 11. 17.에 이 사건 계엄을 선포하였다는 사실'은 그 속에 타인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아니함이 명백하므로, 결국 이 사건 기사 중 계엄의 불법성에 관한 기사 부분은 그 전체가 명예훼손이 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 사건 기사 중 계엄이 불법이라는 부분이 명예훼손이 되지 아니한다는 원심의 판단은 앞서 본 잘못에도 불구하고 그 결론에 있어서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사실적시행위 및 명예훼손에 관한 법리오해, 논리법칙 위배, 이유모순,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원고의 부대상고이유도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피고의 상고와 원고의 부대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 및 부대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이강국(주심)

관련 논문 19
민주주의 원리의 관점에서 본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와 당선무효조항 - 대법원 2020. 7. 16. 선고 2019도13328 전원합의체 판결 -
김선화 | 한국법학원 | 2021
온라인 플랫폼의 이용후기 - 허위의 온라인 이용후기를 둘러싼 법적 쟁점 -
김수정 | 법조협회 | 2021
의견표현과 명예훼손
박용상 | 한국언론법학회 | 2020
공인의 정치적 이념에 대한 표현과 명예훼손 -대법원 2018. 10. 30. 선고 2014다61654 전원합의체 판결-
김경수 외 1명 |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 2020
『제국의 위안부』 형사 판결의 비판적 분석 -서울고등법원 2017노610 판결을 중심으로-
홍승기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0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아란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2019
허용되는 의견표명과 허용되지 않는 모욕적 비판의 한계: 평석 대상판례 - 대법원 2014. 8. 20. 선고 2012다19734
손원선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6
표현의 자유의 구조와 성격에 관한 연구 : 오프라인과 온라인상 실현방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차진아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2
SNS 규제와 표현의 자유
문재완 | 한국언론학회 | 2012
사자(死者)의 인격권
김민중 | 동북아법연구소 | 2011
사이버 공간(Cyberspace)에서의 권리침해와 관련한 민사법적 고찰
김성욱 | 한국법학회 | 2010
Ⅰ. 법원(法源)
김홍영 | 한국노동법학회 | 2010
언론중재제도의 '국가기관 반론권' 과보호 가능성에 관한 연구
허만섭 | 한국언론학회 | 2010
언론의 자유와 명예훼손 고소사건 수사 : MBC PD수첩의 광우병 보도사건을 중심으로
박종보 | 한국언론법학회 | 2009
2009년 언론관계 판례의 동향
이인호 | 한국언론법학회 | 2009
정치 패러디와 표현의 자유의 한계
문재완 | 한국언론법학회 | 2004
[특별기획(Ⅱ)]2004년 2월 22일 시행 제46회 사법시험.제18회 군법무관 제1차 기출문제와 해설(헌법, 민법, 형법)
편집부 | 고시계사 | 2004
공인의 명예훼손에 대한 판결기준의 변화 추세 :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차용범 외 1명 | 한국언론학회 | 2002
死者 名譽毁損과 事實ㆍ論評의 區別 基準에 關한 小考 : 대법원 2001. 1. 19. 선고 2000다10208 판결 評釋
咸錫泉 외 1명 | 한국법학원 |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