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1]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9조 제1항 소정의 상해의 의미 [2] 정신과적 증상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9조 제1항 소정의 상해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재판요지

[1]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9조 제1항의 상해는 피해자의 신체의 완전성을 훼손하거나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반드시 외부적인 상처가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여기서의 생리적 기능에는 육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 기능도 포함된다. [2] 정신과적 증상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9조 제1항 소정의 상해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참조판례

[1] 대법원 1969. 3. 11. 선고 69도161 판결(집17-1, 형63)

피고인
피고인 1 외 2인
피고인
피고인들
변호인
변호사 ○○○ ○ ○○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 이후의 구금일수 중 90일씩을 피고인들에 대한 본형에 각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들의 변호인과 피고인 2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9조 제1항의 상해는 피해자의 신체의 완전성을 훼손하거나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반드시 외부적인 상처가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여기서의 생리적 기능에는 육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 기능도 포함된다고 전제한 후, 제1심이 조사·채택한 증거들에 장신경외과의원 원장 장여봉에 대한 사실조회에 대한 회신의 기재를 종합하여 피고인들의 강간행위로 인하여 피해자이 불안, 불면, 악몽, 자책감, 우울감정, 대인관계 회피, 일상생활에 대한 무관심, 흥미상실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와 같은 증세는 의학적으로는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겪을 수 없는 극심한 위협적 사건에서 심리적인 충격을 경험한 후 일으키는 특수한 정신과적 증상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해당하고, 피해자은 그와 같은 증세로 인하여 2일간 치료약을 복용하였고, 6개월간의 치료를 요하는 사실을 인정하고, 피해자이 겪은 위와 같은 증상은 강간을 당한 모든 피해자가 필연적으로 겪는 증상이라고 할 수도 없으므로 결국 피해자은 피고인들의 강간행위로 말미암아 위 법률 제9조 제1항이 정하는 상해를 입은 것이라고 판단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 및 판단은 모두 수긍할 수 있고, 여기에 피고인들의 변호인과 피고인 2이 논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또는 심리미진의 위법이나 피고인들의 변호인이 논하는 위 법률 제9조 제1항의 상해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 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피고인들에 대한 상고 이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씩을 각 피고인들에 대한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박준서 이임수(주심)

관련 논문 21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법개념화- 강간치상죄의 상해개념을 중심으로 -
홍가혜 외 1명 | 한국범죄심리학회 | 2021
강간에 의한 피해여성의 임신(rape related pregnancy)을 상해로 볼 수 있는가?: 대법원 2019. 4. 17. 선고 2018도17410판결 및 대법원 2...
권창국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2020
형법상 상해개념과 정신적 장해
윤상민 | 한국법학회 | 2020
응급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폭행 등의 행위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
김태수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0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이른바 '슈퍼전파자'의 형사책임판단
홍태석 |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2020
층간소음분쟁 해결을 위한 형사법적 접근
박광현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0
의료인 등에 대한 폭행 등에 대한 처벌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의료법을 중심으로 -
김태수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0
범죄피해자의 트라우마에 대한 형사정책적 체계정립 방안
김대근 외 2명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2019
스텔싱(Stealthing)의 형사 처벌가능성에 관한 소고
김희정 | 법학연구원 | 2019
성폭력 범죄피해자의 PTSD 관련 법적 쟁점 연구
권솔지 외 1명 | 법학연구소 | 2019
형법
편집부 | 고시계사 | 2017
형사절차상 사회과학적 증거의 증명력과 증거능력에 대한 연구 - 미국의 논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강우예 | 법학연구소 | 2017
소음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층간소음 분쟁을 중심으로
박광현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5
경구피임약 포장결함에 의한 제약회사의 손해배상책임
봉영준 | 법학연구소 | 2015
도주선박죄의 적용범위와 몇 가지 문제점
김태수 | 법학연구원 | 2015
스포츠상해와 보험자 면책
김은경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2015
프로야구 불문율내용과 사례에 있어서 야구규칙 제도화의 필요성
조용찬 외 1명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2014
형법 제263조의 적용범위
金泰秀 외 1명 | 중앙법학회 | 2012
형법
이용배 | 고시계사 | 2010
형법
승재현 | 고시계사 | 2008
형사특별법 정비방안(3)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박미숙 외 5명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