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가. 법관(法官)의 구속영장발부(拘束令狀發付) 단계에서 행한 위헌여부심판제청(違憲與否審判提請)의 적법(適法) 여부 나. 형법(刑法) 제241조의 위헌(違憲) 여부에 대한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의 종전 결정(決定)을 그대로 유지한 사례

재판요지

가. 위헌여부심판(違憲與否審判)의 제청(提請)에 관하여 규정(規定)하고 있는 헌법재판소법(憲法裁判所法) 제41조 제1항의 “재판(裁判)”에는 종국판결(終局判決) 뿐만 아니라 형사소송법(刑事訴訟法) 제201조에 의한 지방법원판사(地方法院判事)의 영장발부(令狀發付) 여부에 관한 재판(裁判)도 포함된다고 해석되므로 지방법원판사(地方法院判事)가 구속영장발부(拘束令狀發付) 단계에서 한 위헌여부심판제청(違憲與否審判提請)은 적법(適法)하다. 나. 형법(刑法) 제241조 즉 간통죄(姦通罪)의 위헌(違憲) 여부에 관하여 이미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가 1990.9.10. 선고한 89헌마82 사건에서 헌법(憲法)에 위반(違反)되지 아니한다고 판시(判示)하였는 바, 이를 달리 판단하여야 할 사정변경(事情變更)이 있다고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그 결정(決定)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刑法) 제241조 (간통(姦通)

참조판례

1990.9.10. 선고, 89헌마82 결정 (판례집 2권, 306)

사건
90헌가70 형법제241조에관한위헌심판
【재청법원】 부산지방법원
관련사건
부산지방법원 1990년 영장번호 5041호, 5042호 간통죄 피의사실에 관한 구속영장청구사건
판결선고
1993. 03. 11.

주 문

형법(1953.9.18. 법률 제293호) 제241조는 헌법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이 유

1. 이 사건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인정된다. 1990.6.29. 부산지방법원 판사 김○영은 부산지방검찰청 검사가 간통죄로 고소된 피의자 이○숙, 같은 한○연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영장청구에 대하여 재판을 함에 있어 간통죄를 규정한 형법 제241조 제1항이 헌법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다하여 당 재판소에 형법 제241조에 대한 위헌여부의 심판을 제청하였다. 2. 재청법원이 주장하는 위헌여부의 심판제청이유 요지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진 인간이라 함은 모든 생활영역에서 자결과 자유로운 개성의 신장을 추구하고 실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 인격체로서의 인간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에는 스스로 자유로운 성적 행동에 관한 자기결정권도 포함되는 것인데 간통죄는 혼인생활이 파탄에 이르러 형식적인 부부에 지나지 않은 경우에도 성의 자기결정권을 박탈하여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 및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한 헌법 제10조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보장한 헌법 제17조에 위반된다. 그리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법률로써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할 수 없는 것인데 간통에 대하여 민사적인 책임이외에 국가가 개인의 사생활에 개입하여 형벌로 다스리는 것은 도덕적 윤리적인 사항을 형벌에 의하여 강제하는 것이 되고, 간통죄를 친고죄로 하여 소추권의 발동이 간통자의 배우자 등의 사적 감정에 의한 고소여부에 따라 좌우됨으로써 소추권이 파행적으로 운영되거나 제도외적 목적으로 남용되는 경우도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소취소가 없는 한 형사사법의 실무관행상 대부분 구속과 실형선고를 하고 있음을 아울러 고려해 볼 때 간통을 형벌로 다스리는 것은 과잉금지의 원칙에도 위반된다. 3. 판단하건대, 가.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제1항은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때에는 당해 사건을 담당하는 법원은 직권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의한 결정으로 헌법재판소에 위헌여부의 심판을 제청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위 “재판”에는 종국판결 뿐만 아니라 형사소송법 제201조에 의한 지방법원판사의 영장발부여부에 관한 재판도 포함된다고 해석하므로 이 사건 위헌여부의 심판제청은 적법하다. 나. 당 재판소는 1990.9.10.에 선고한 89헌마82사건에서 형법 제241조가 헌법에 위반되지 아니한다고 판시하였는 바 이를 다시 달리 판단하여야 할 사정변경이 있다고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그 결정을 그대로 유지하고 그 사건에서 판시한 이유(보충의견, 반대의견 포함)를 이 사건에 인용한다. 다만 위 재판이 있은 이후에 임명된 재판관 황도연은 위 사건 판시중의 재판관 조규광, 재판관 김문희의 보충의견에 가담하였다.

재판관 조규광(재판장) 변정수 김진우 한병채 이시윤 최광률 김양균 김문희 황도연

관련 논문 25
헌법소원과 사실인정
강일원 |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 2020
헌법재판과 선례변경의 법리
오영신 | 미국헌법학회 | 2019
헌법재판에서 소수의견제도
허완중 | 헌법재판연구원 | 2019
형벌조항에 대한 위헌 결정으로 인한 재심의 범위 :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3항 단서의 신설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정주백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8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3항 단서의 문제점에 관한 법적 검토
박경철 |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6
2015년 중요헌법판례
정필운 외 3명 |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 2016
형벌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의 소급효 제한- 헌재 2016. 4. 28. 2015헌바216 결정 -
김현철 | 헌법재판연구원 | 2016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42조 제1항위헌확인- 헌재2016. 3. 31. 2015헌마688 결정에 관한 평석 -
김일환 | 헌법재판연구원 | 2016
자유민주주의에서 정당해산심판의 헌법적 문제점
한수웅 | 헌법재판연구원 | 2016
중국식 위헌심사제도로서 헌법감독제도의 현황과 과제- 위헌법률에 대한 통제가능성을 중심으로 -
손한기 | 헌법재판연구원 | 2016
관습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심사 권한- 헌재 2016. 4. 28. 2013헌바396 등 결정에 대한 평석 -
권건보 | 헌법재판연구원 | 2016
21C 헌법재판소의 혼인빙자간음 및 간통 등의 위헌결정 등에 나타난 비범죄화의 흐름
고시면 | 한국사법행정학회 | 2016
성적 자기결정권과 성폭력 관련 법제 및 판례에 대한 헌법적 고찰
이희훈 | 헌법재판소 | 2015
친생자 추정과 가족관계등록절차의 개선방안
현소혜 | 법학연구원 | 2015
2013년(제19회) 법무사 제1차시험 기출문제와 해설_헌법
권순현 | 고시계사 | 2013
조선시대 이후 한국의 이혼제도에 대한 일고찰 —이혼원인과 양성평등을 중심으로—
정지원 | 한국가족법학회 | 2013
헌법적 대화에 있어서 헌법재판소의 역할 ― 한국 헌법재판, 제3의 길, 가능한가? ―
김선택 | 한국공법학회 | 2013
헌법
선동주 | 고시계사 | 2010
헌법
선동주 | 고시계사 | 2010
의사에 대한 인권침해 실태 및 구제방안
홍성방 외 2명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2009
영장항고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정당성
정준섭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2009
형사소송법 제ㆍ개정 자료집(상)
신양균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2009
權利濫用에 있어서 主觀的 要件의 必要性
李東炯 | 한국법학원 | 2008
국가형벌권 행사를 통한 건전한 성풍속의 보호
김성천 외 1명 | 중앙법학회 | 2002
裁判의 前提性의 意味와 充足要件 : 憲法裁判所 判例를 중심으로
李富夏 | 한양법학회 |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