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소송촉진(訴訟促進)등에관한특례법(特例法) 제6조 제1항 중 단서(但書)의 위헌여부(違憲與否)

재판요지

소송촉진(訴訟促進)등에관한특례법(特例法) 제6조 제1항 중 단서(但書) 부분은 재산권(財産權)과 신속한 재판(裁判)을 받을 권리(權利)의 보장(保障)에 있어서 합리적 이유없이 소송당사자(訴訟當事者)를 차별(差別)하여 국가를 우대하고 있는 것이므로 헌법(憲法) 제11조 제1항에 위반(違反)된다.

참조조문

헌법 전문, 헌법 제11조 제1항, 제23조, 제27조 제3항,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6조 (가집행(假執行)의선고(宣告)

사건
88헌가7 訴訟促進등에관한特例法제6조의違憲審判
제청신청인
정 인 봉
판결선고
1989. 01. 25.

주 문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1981.1.29. 법률 제3361호) 제6조 제1항중 “다만, 국가를 상대로 하는 재산권의 청구에 관하여는 가집행의 선고를 할 수 없다”라는 부분은 헌법에 위반된다.

이 유

1. 이 사건 위헌제청 이유의 요지는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법률 제3361호) 제6조 제1항은 “재산권의 청구에 관한 판결에는 상당한 이유가 없는 한 당사자의 신청 유무를 불문하고 가집행할 수 있음을 선고하여야 한다. 다만, 국가를 상대로 하는 재산권의 청구에 관하여는 가집행의 선고를 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여 재산권의 청구에 관한 민사소송의 원고 승소판결에는 상당한 이유가 없는 한 법원으로 하여금 반드시 가집행의 선고를 붙이도록 하면서도 유독 국가가 피고일 경우에만은 가집행의 선고를 붙일 수 없도록 예외 규정을 한 것은 평등한 수평적 관계에서 진행되는 민사소송에 있어서 사경제(私經濟)의 주체에 불과한 국가에게 우월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어서, 결국 위 예외규정은 헌법 제11조 제1항의 평등의 원칙에 위배되는 위헌 규정이라고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2. 헌법은 그 전문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하고”라고 규정하고, 제11조 제1항에 “모든 국민은 법앞에 평등하다”고 규정하여 기회균등 또는 평등의 원칙을 선언하고 있는바, 평등의 원칙은 국민의 기본권 보장에 관한 우리 헌법의 최고원리로서 국가가 입법을 하거나 법을 해석 및 집행함에 있어 따라야할 기준인 동시에, 국가에 대하여 합리적 이유없이 불평등한 대우를 하지 말것과, 평등한 대우를 요구할 수 있는 모든 국민의 권리로서, 국민의 기본권중의 기본권인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평등의 원칙은 헌법 제23조에 의하여 보장된 “모든 국민의 재산권”과 헌법 제27조 제3항에 의하여 보장된 “모든 국민의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실현에도 당연히 적용되어야 할 것이므로 재산권 등 사권(私權)의 구제절차인 민사소송에서도 당사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차별대우가 있어서는 아니되는 것이며, 국가가 민사소송의 당사자가 되었다고 해서 합리적 이유없이 우대받아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비록 국가라 할지라도 권력적 작용이 아닌, 민사소송의 대상이 되는 국고작용(國庫作用)으로 인한 법률관계에 있어서는 사인(私人)과 동등하게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서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6조 제1항을 보건데, 가집행의 선고는 불필요한 상소권의 남용을 억제하고 신속한 권리실행을 하게 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권과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인데, 위 특례법의 규정에 따르면, 법원은 국가가 원고가 되어 얻은 승소판결에는 상당한 이유가 없는 한 반드시 가집행의 선고를 하여야하나, 반면에 국민이 국가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얻어낸 승소판결에는 아무리 확신있는 판결이라고 할지라도 가집행의 선고를 할 수 없게 되어있어 결국 재산권과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보장에 있어 소송당사자를 차별하여 국가를 우대하고 있는 것이 명백하고 이처럼 민사소송의 당사자를 차별하여 국가를 우대할만한 합리적 이유도 찾기 어렵다. 3. 법무부장관은 국가에 대하여 가집행을 금지한 예외규정을 두었다고 해서 헌법 제11조의 평등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서를 당 재판소에 제출하고 그 이유로서, 첫째, 가집행제도의 근본취지는 집행불능을 사전에 방지하려는 것인데 국가는 성질상 집행불능의 상태가 생길 수 없으므로 국가에 대한 가집행을 불허하더라도 집행불능의 문제가 생길 수 없고, 둘째, 국가에 대한 가집행을 허용할 경우에는 소송과 직접 관계가 없는 국가기관에 대한 집행 등으로 국가회계질서의 문란이 초래될 우려가 있으며, 셋째, 가집행을 한 후 상소심에서 판결이 번복되었으나 원상회복이 어려운 경우에는 국고손실이 예상되며, 회복이 가능한 경우라도 회복에 따르는 인력과 예산낭비 등의 우려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가집행의 선고는 불필요한 상소권의 남용을 억제하고 신속한 권리실현을 위하여 둔 제도이지 집행불능을 사전에 방지하려는 제도가 아니므로, 국가에 대하여 집행이 불가능하게 될 염려가 없다고 해서 가집행 선고의 필요가 없는 것도 아니고, 가집행으로 인한 국가회계질서 문란의 우려는 국가 스스로 얼마든지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아무런 문제가 될 수 없으며, 가집행후 상소심에서 판결이 번복되었을 경우 원상회복이 어렵게 될 경우를 예상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는 국가가 피고일 경우에만 생기는 문제가 아니라 가집행제도의 일반적인 문제라 할 것이어서, 이러한 문제는 법원이 판결을 함에 있어 가집행을 붙이지 아니할 상당성의 유무를 신중히 판단하고 민사소송법 제199조 제1항에 의한 담보제공명령이나 같은 법조 제2항에 의한 가집행 면제제도를 적절하게 운용하며 또, 국가로서도 민사소송법 제473조, 제474조에 의하여 법원에 신청하여 가집행 정지명령을 받는 등의 방법으로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위와 같은 문제가 있다고 해서 그것이 국가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가집행선고를 금지할 이유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법무부장관이 주장하는 사유는 어느 것이나 필요적 가집행선고를 규정한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6조 제1항 본문에도 불구하고 국가에 대하여 차별적 우대를 하는 예외적 규정을 두어야 할 합리적 이유가 될 수 없다. 4. 이상과 같은 이유로써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6조 제1항 중 “다만, 국가를 상대로하는 재산권의 청구에 관하여는 가집행의 선고를 할 수 없다”라는 부분은 헌법 제11조 제1항에 위반됨이 명백하므로, 헌법재판소법 제45조에 의하여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이 결정은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에 의한 것이다.

재판관 조규광(재판장) 이성렬 변정수 김진우 한병채 이시윤 최광률 김양균 김문희

관련 논문 34
정치자금법상 후원회지정권자의 범위에 관한 연구
기현석 | 동북아법연구소 | 2022
차별금지법 제정 방안에 관한 검토
홍관표 외 1명 |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 2021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사업장변경 제한의 위헌성 검토
노기호 | 한양법학회 | 2021
1980년 헌법 부칙 제6조 제3항의 역설적 회생(回生)-헌재 2018.3.29. 선고 2016헌바99 결정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최호동 | 헌법재판연구원 | 2021
일터민주주의를 위한 노동법적 과제
박귀천 | 한국노동법학회 | 2020
국가계약법상 장기계속공사계약 법리의 재구성
정영철 | 한국공법학회 | 2020
차별금지법안의 쟁점과 개선방안
김종헌 외 1명 | 한국사회법학회 | 2020
헌법의 눈으로 본 차별금지법 ― 혐오표현의 문제와 함께 ―
한상희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2020
방송광고 규제 개선을 위한 입법기준 시론
최우정 | 법학연구소 | 2020
통일시대에 대비한 남북지방자치단체간 교류협력을 위한 법이론적 고찰
황선훈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 2019
통일과 헌법개정 ― 민족자결권과 통일절차규정을 중심으로 ―
김병기 외 3명 | 한국공법학회 | 2018
양성평등에 관한 헌법개정상의 주요내용과 발전방향
옥필훈 외 1명 |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 2018
새로운 과학기술 가치를 담은 개헌 -과학기술 헌법 개정론의 평가를 중심으로-
정철 | 법학연구소 | 2018
요청조달계약에서의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 처분권한의 귀속주체- 대법원 2017. 6. 29. 선고 2014두14389 판결을 중심으로 -
정영철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8
미등록 이주아동의 교육권― 미국 Plyler v. Doe 판결을 중심으로 ―
김지혜 | 미국헌법학회 | 2018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위한 입법방안에 대한 소고
배진수 외 2명 |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 2017
행정소송법
남현일 | 회경사 | 2017
경제질서와 사회국가원리에 대한 재조명
김명수 외 1명 | 한국공공사회학회 | 2017
외국인고용법상 출국만기보험금 지급시기의 위헌성 - 헌재 2016. 3. 31. 2014헌마367 평석을 중심으로 -
여경수 | 한국사회법학회 | 2017
헌법
편집부 | 고시계사 | 2016
아동 ·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56조 제1항의 위헌성 연구
이원복 외 2명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2016
변호사법 제58조 제1항의 위헌성
명재진 | 한국법정책학회 | 2016
한국 헌법재판제도의 성과와 과제
김하열 | 한국법학원 | 2015
일반적 평등원칙의 심사구조와 심사강도
김해원 외 1명 | 한국비교공법학회 | 2013
한국토지주택(LH)공사 본사 이전결정에 관한 헌법적 문제 : 전라북도 혁신도시 내 토지소유자 등의 헌법소원심판 청구와 관련하여
송기춘 외 3명 | 한국비교공법학회 | 2012
입법자 구속설 비판
정주백 외 1명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2
독일의 성차별금지 법리와 현황
박귀천 외 1명 |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 2011
당사자소송 - 소송의 형태를 중심으로 -
강수경 | 법학연구소 | 2010
[헌법] 직업선택의 자유와 신뢰보호원칙
김상겸 | 고시계사 | 2010
현행소득과세제도와 조세공평주의
유일언 외 1명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2007
外國人 勤勞者의 憲法上 基本權 保障 : 現行 産業硏修生制度의 違憲性 검토를 중심으로
金知衡 외 1명 | 한국법학원 | 2002
1997년 7월 9일 ~ 7월 12일 施行 제39회 제2차시험 採點評
권영설 외 4명 | 고시연구사(연구) | 1997
(제39회 사법시험 2차시험 채점평)헌법
문광삼 | 고시계사 | 1997
[헌법] 평등권에 관한 몇 가지 고찰
문광삼 | 고시계사 |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