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1년을 초과하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근로계약의 효력

재판요지

근로기준법 제21조는 "근로계약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것과 일정한 사업완료에 필요한 기간을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그 기간은 1년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그 입법취지는 장기의 근로기간을 정함으로 인하여 근로자가 퇴직의 자유를 제한당하게 됨으로써 장기간 근로의 계속을 강요당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근로자 보호를 위하여 1년을 초과하는 근로계약기간 부분의 근로관계에 있어서 근로자에게 퇴직의 자유를 보장하려는 것에 있고, 근로계약기간은 단지 근로계약의 존속기간에 불과할 뿐 '근로관계에 있어서 임금·근로시간·후생·해고 등 근로자의 대우에 관하여 정한 조건'을 의미하는 근로기준법 제20조 소정의 근로조건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근로계약 당사자는 원칙적으로 이를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1년을 초과하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하였다 하더라도 그 계약기간의 정함 자체는 유효하므로 약정기간 범위 내에서는 사용자는 근로기준법 제21조를 근거로 단순히 근로자에게 1년의 기간이 경과하였음을 이유로 근로관계의 종료를 주장할 수 없고 다만 근로자로서는 1년이 경과한 후에는 언제든지 당해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할 것이며, 한편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경우에 있어서 근로계약 당사자 사이의 근로관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기간이 만료함에 따라 사용자의 해고 등 별도의 조처를 기다릴 것 없이 당연히 종료된다.

참조판례

대법원 1980. 7. 8. 선고 80다590 판결(공1980, 12999) 대법원 1989. 7. 11. 선고 88다카21296 판결(공1989, 1222)(변경) 대법원 1992. 2. 25. 선고 91다26232 판결(공1992, 1128) 대법원 1992. 10. 27. 선고 92누9722 판결(공1992, 3318) 대법원 1995. 6. 30. 선고 95누528 판결(공1995하, 2629) 대법원 1995. 7. 11. 선고 95다9280 판결(공1995하, 2757)

원고, 상고인
원고
피고, 피상고인
한국 케이.디.케이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동방종합법무법인 ○당변호사 ○○○ ○ ○○)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와 상고이유보충서 중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부분을 판단한다. 1. 근로기준법 제21조는 "근로계약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것과 일정한 사업완료에 필요한 기간을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그 기간은 1년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근로계약기간 제한규정의 입법취지는 장기의 근로기간을 정함으로 인하여 근로자가 퇴직의 자유를 제한당하게 됨으로써 장기간 근로의 계속을 강요당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근로자 보호를 위하여 1년을 초과하는 근로계약기간 부분의 근로관계에 있어서 근로자에게 퇴직의 자유를 보장하려는 것에 있고 ( 대법원 1980. 7. 8. 선고 80다590 판결, 1992. 2. 25. 선고 91다26232 판결 등 참조), 근로계약기간은 단지 근로계약의 존속기간에 불과할 뿐 "근로관계에 있어서 임금·근로시간·후생·해고 등 근로자의 대우에 관하여 정한 조건"을 의미하는 근로기준법 제20조 소정의 근로조건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근로계약 당사자는 원칙적으로 이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할 것이며, 따라서 1년을 초과하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하였다 하더라도 그 계약기간의 정함 자체는 유효하므로 약정기간 범위 내에서는 사용자는 근로기준법 제21조를 근거로 단순히 근로자에게 1년의 기간이 경과하였음을 이유로 근로관계의 종료를 주장할 수 없고, 다만 근로자로서는 1년이 경과한 후에는 언제든지 당해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할 것이며, 한편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경우에 있어서 근로계약 당사자 사이의 근로관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기간이 만료함에 따라 사용자의 해고 등 별도의 조처를 기다릴 것 없이 당연히 종료된다 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2. 9. 1. 선고 92다26260 판결, 1995. 7. 11. 선고 95다9280 판결 등 참조). 그러므로 1년을 초과하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경우에 그 근로계약은 1년의 계약기간을 가진 근로계약으로 인정되고, 그 이후의 근로관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기간의 약정이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라고 판시한 대법원 1989. 7. 11. 선고 88다카21296 판결의 견해는 이를 변경하기로 한다. 2. 원심이 1년을 초과하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근로계약의 효력에 관하여 위 대법원 1989. 7. 11. 선고 88다카21296 판결의 견해를 따르면서 다른 한편 병역의무의특례규제에관한법률(1989. 12. 30. 법률 제4157호로 제정되고 1992. 12. 2. 법률 제4510호로 개정됨, 위 법률은 1993. 12. 31. 법률 제4685호로 개정된 병역법에 의하여 폐지되었다.) 상의 특례보충역인 원고가 그 법률상의 특례업체인 피고와의 사이에 체결한 이 사건 근로계약에서 정한 근로계약기간이 그 판시와 같은 특수한 사정에 비추어 근로기준법 제21조의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고 판시한 것은 옳다고 할 수 없으나 이 사건 근로계약기간의 정함을 유효한 것으로 보고, 이에 기한 원고와 피고 사이의 근로관계가 그 기간 만료로 종료되었다는 취지로 판시한 원심의 판단은 결론적으로 정당하다고 할 것이다. 결국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없는 것으로 귀착된다. 3. 따라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 전원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원장 윤관(재판장) 대법관 박만호 천경송 정귀호 안용득 박준서 이돈희 김형선(주심) 지창권 신성택 이용훈 이임수

관련 논문 29
근로기준법 70년, 근로계약법제의 변화
강성태 | 한국노동법학회 | 2023
위탁 등 아웃소싱과 노동법적 쟁점 - 기간제근로자를 중심으로 -
강선희 | 노동법이론실무학회 | 2023
노동판례리뷰
강선희 외 2명 | 한국노동연구원 | 2022
정년퇴직 근로자의 갱신기대권에 관한 고찰
최영종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 2021
기간제 근로계약의 해지에 관한 소고 - 근로자의 사직과 민법 제661조의 부득이한 사유를 중심으로 -
정재욱 외 1명 |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 2021
휴게시간의 운용에 관한 소고
김경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 2019
대법원 판결의 갱신기대권 및 해고의 법리적용의 가부
김희찬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 2019
기간제법 시행 후 노동시장의 분절화
조성혜 | 한국노동법학회 | 2016
기간제법 상 기간제 근로자 사용기간 제한 예외에 관한 고찰
오세웅 | 노동법이론실무학회 | 2016
노동시장 이중구조 심화와 비정규직 관련 법제도의 입법론적 개선 방향
권혁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5
갱신기대권 법리의 재검토
변성영 | 한국노동법학회 | 2015
비정규직의 불안정 노동 : 비정규 고용형태별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에서의 배제
서정희 | 한국노동연구원 | 2015
사용기간 제한 예외에 해당하는 기간제 근로자의 갱신기대권 : 대법원 2013. 11. 15. 선고, 2013두16388 판결 사건을 중심으로
조성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 2014
근로자파견법상 고용간주조항의 재검토
노상헌 | 한국사회법학회 | 2014
계약의 자유와 체약(締約)강제
김성진 | 한국노동법학회 | 2013
법정근로관계 설정의 법리 : 파견법과 기간제법을 중심으로
신권철 |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 2013
OECD 고용보호지수의 정확성과 적정성
강성태 외 2명 |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 2013
기간제근로에서 재고용의 정당한 기대권 : 서울동부지법 2011.9.27. 선고 2011가합6197 판결, 서울고법 2012.6.15. 선고 2011나87961 판결
정인섭 |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 2012
비정규직 차별금지의 쟁점과 과제
조용만 | 한국노동법학회 | 2012
기간제 근로자의 근로계약 갱신기대권 법리 - 대법원 2011.4.14. 선고 2007두1729 판결을 중심으로 -
오윤식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2012
기간제 근로계약의 무기근로계약으로의 전환
신권철 |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 2011
노동관계와 파업결정단위
정인섭 |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 2010
기간제법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김노원 | 법학연구소 | 2009
경기변동기에 있어서의 근로자 보호의 법리 : 정리해고 법리를 중심으로
도재형 외 1명 |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 2006
21세기의 노동법적 과제와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 '한국적 풍토'의 노동법에 대한 진단 및 처방과 상생(相生)의 지향 ―
이흥재 외 1명 | 한국비교법학회 | 2005
노동판례의 최근 경향 및 노동법원 논의에서의 시사점 ― 중노위 패소 사례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
도재형 외 1명 | 한국노동법학회 | 2005
기간제 고용에 관한 현행법제의 문제점과 입법적 과제
조임영 외 1명 | 중앙법학회 | 2004
비정규직 근로자의 법적 보호 : 노동법의 유연화와 관련하여
김광호 외 1명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2001
1년을 초과하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근로계약의 효력 : 대법원 1996.8.29. 선고, 95다5783 전원합의체 판결
김선수 외 1명 |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