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미필적 고의에 대한 묵시의 의사 연락이 있었다고 인정된 사례

재판요지

피해자에게 가해할 것을 사전에 합의하여 식칼과 각목을 휴대하여 가해를 하여 사망하였다면 살해에 대한 미필적 고의가 있었다고 할 것이며 또 그 점에 대한 묵시의 연락이 있었다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형법 제30조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구금일수 중 6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상고 이유를 판단한다. 1. 기록에 의하여 제1심 판결의 용의증거를 살피건대, 피고인은 공소외 1과 함께 공소외 2로부터 공소외 3에 대한 가해 협조의 요청을 받고 이를 승낙하여 위 공소외 2는 식도 한자루를, 피고인과 위 공소외 1은 각기 각목 1개씩을 휴대하여 동도 본건 범행장소에 임하고 위 공소외 2와 위 공소외 3 간에 시비가 벌어져 공소외 2가 공소외 3의 좌우대퇴부를 3회 가량 찌를 때 이를 전후하여 피고인과 공소외 1은 소지한 각목으로 피해자의 머리와 어깨 등을 2, 3회씩 내리쳐서 피해자로 하여금 뇌좌상 및 급성실혈로 인하여 사망케 한 제1심 판시사실을 수긍할 수 있고 그 과정에 소론들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사실오인의 잘못이 있다 할 수 없다. 2. 위와 같이 피해자들에게 가해할 것을 사전에 합의하여 식칼과 각목을 휴대하여 판시와 같은 가해를 하였다면 살해에 대한 미필적인 고의가 있었다고 할 것이며 또 그 점에 대한 묵시의 의사연락이 있었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인을 살인의 공동정범으로 단정한 제1심 판시는 정당하고 거기에 증거없이 사실을 단정하였거나 공동정범에 관한 법리오해있다 할 수 없어 이를 유지한 원심판결의 단정 또한 정당하니 이 점에 관한 소론 또한 채택할 수 없다. 3. 그리고 징역 7년이 선고된 이 사건에선 양형과중이란 주장은 적법한 불복사유로 되지 아니함이 형사소송법의 규정상 명백하므로 이 점에 관한 소론 또한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당심구금일수의 일부를 통산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철(재판장) 민문기 이일규 정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