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설립등기를 하기까지의 차량운행의 공백기를 피하기 위하여 제3자명의로 소유권이전등록을 하고 회사가 설립된 이후 회사명의로 이전등록을 마친 차량에 대하여 다시 취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 여부

재판요지

소외인 명의로 일단 이건 차량이 명의이전등록이 되었던 것은 " 갑" 회사가 폐업하게 되어 지입차주들이 당시 " 을" 운수사라는 개인업체를 경영하던 소외인과 협의하여 공동으로 " 병" 회사를 설립하여 이 차량들을 그 회사소유로 하여 운행하기로 하고 그 설립등기를 하기까지의 차량운행의 공백기를 메우기 위한 운수사업의 인가에 관한 특수사정 때문에 부득이 취하여 졌던 하나의 과정과 방편에 불과하였고 실질적으로는 " 병" 회사 앞으로의 한번의 이전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위 소외인 명의로 일단 취득세가 납부된 이상 " 병" 회사 앞으로 다시 취득세를 부과할 수는 없다.

원고, 상고인
한일여객자동차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
피고, 피상고인
광주시장

주 문

원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원고소송 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원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래 소외 금성여객자동차주식회사 소유였던 이 사건 차량들에 대하여 1973.11.22(1972라고 기재된 것은 1973의 오기로 보인다) 한일여객자동차운수사 소외 1을 거쳐 1974.3.11원고회사 앞으로 그 등록명의가 이전된 사실을 확정한 다음 위 한일여객자동차운수사 소외 1 앞으로의 소유권이전등록은 당시 설립중에 있던 원고회사가 이 사건 차량들을 취득함에 있어서 차량운행의 공백을 막기 위한 편의상 그 명의를 일시 빌렸던 것에 불과하고 위 소외 1 명의로 이 차량들에 대한 취득세를 납부한바 있으므로 다시 원고회사 앞으로 본건 취득세를 부과하였음은 이중의 처분이라는 원고회사의 주장에 대하여 위 한일여객자동차운수사 소외 1이 금성여객자동차주식회사로부터 이 사건 차량들을 인수한 것이 설립중에 있던 원고회사의 대표자 내지는 그 대리인으로서 한 것이라거나 그밖에 이것이 바로 원고회사가 인수한 것과 같이 보아야 할 아무런 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원고회사의 이사건 취득세부과처분의 취소청구를 배척하고 있다. 그러나 성립에 다툼이 없는 갑 제13,14호중 원심증인 소외 2의 증언에 의하여 그 진정성립이 인정되는 갑 제7 내지 10호증의 각 기재내용과 원심증인 소외 2, 소외 3의 각 증언에 변론의 전취지를 종합하여 보면 이 사건 차량들은 사실상 소외 4의 27명의 개인소유로서 위 금성여객자동차주식회사에 지입하여 운행해 왔던 것인데 1973년11월 그 회사가 폐업하게 되어 위 지입차주들은 당시 한일여객자동차운수사라는 개인업체를 경영하던 소외 1과 협의하여 공동으로 원고회사를 설립하여 이 차량들을 그 회사소유로 하여 운행하기로 하고 위 소외 4 외 6명을 주식회사설립 발기인으로 선임하여 이른 바 설립중의 회사를 구성한 후 그 설립등기를 하기까지의 차량운행의 공백기를 매우기 위한 방편으로 회사를 설립하여 직영할 것을 조건으로한 1973.11.16자 운수당국의 시외버스 여객자동차운송사업양도 양수인가에 기하여 일응 위 한일여객자동차 운수사 소외 1 명의로 소유권이전등록을 마쳤다가 원고회사가 설립된 이후 당초의 계획과 위 운수당국의 조건대로 원고회사명의로 다시 이전등록을 하였던 것이라는 원고주장사실을 인정하기에 충분하다. 그렇다면 위 소외 1 명의로 일단 이 사건차량의 명의이전등록이 되었던 것은 운수사업의 인가에 관한 특수사정 때문에 부득이 취하여졌던 하나의 과정과 방편에 불과하였고 실질적으로는 원고회사 앞으로 의 한번의 이전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가 있다. 따라서 위 소외 1 명의로 일단 취득세가 납부된 이상 원고회사 앞으로 다시 취득세를 부과할 수는 없다 할 것이므로 형식상 위 한일여객자동차 운수사 소외 1로부터 이 사건 차량들을 새로이 취득한 것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만에 착안하여 원고회사에 대한 이 사건 취득세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인정한 원판결은 필경 실질과세 원칙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원고의 주장과 증거들을 제대로 판단하지 아니한 위법을 저질러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고 아니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취지의 원고의 상고이유를 받아들여 원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케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법관들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문기(재판장) 이영섭 김윤행 김용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