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보기

AI가 추출한 핵심 문장으로 판결문 요점을 빠르게 파악해 보세요.

판시사항

코높이기 미용성형수술행위가 구 의료법 25조의 의료행위가 되는가 여부

재판요지

피고인의 코높이기 수술인 미용성형수술이 의료기술의 시행방법으로 행하여지고 또 코의 절개과정이나 연골의 삽입봉합과정에서 미균이 침입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어서 이러한 코높이기 수술의 방법 및 행위의 태양을 함께 감안하면 코높이기 성형수술행위도 질병의 치료행위의 범주에 넣어 의료행위가 되는 것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피고인
피고인
상고인
검사
변호인
변호사(○○) ○○○

주 문

원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형사지방법원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피고인은 의사 공소외 1이 경영하는 서울 중구 남대문로 (번지 생략) 소재 (상호 생략)의원에서 조수로 근무하는 사람으로서 의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위 공소외 1과 동인이 부재중일 때에는 피고인 자신이 의료행위를 할 것을 공모한 뒤 1972.10.12 경 동 의원에서 공소외 2의 코에 푸로카인 마취약을 주입하고 칼로 코밑을 절개한 후 연골을 삽입하고 봉합하는 등의 방법으로서 속칭 코높이기 성형수술을 하므로써 의사가 아니면서 의료행위를 한 것이라는 본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콧날세우기와 같은 소위 미용성형행위는 그 행위가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행위인 의료행위와 흡사한 경우가 많고 또한 인체의 생리구조를 잘 아는 사람들이 시술하여야만 그로인한 부작용을 최소한도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면허 있는 사람들이 보통 그 사람들의 본래의 의료행위와 병행하여 시술하는 경우가 상례이기는 하나 그렇다고 하여도 위와 같은 미용성형행위는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와는 전혀 관계없이 오로지 미용만을 목적으로 한 행위이기 때문에 이를 의학상 의료행위라고 단정할 수 없는 것이고, 따라서 이와 같은 단순한 미용을 위한 성형행위가 의학상 의료행위가 아니라고 한다면 그것이 또한 오직 의사에게만 허용되는 구 의료법 제25조 소정의 의료행위에 속한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설시로서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고 있다. 살피건대, 구 의료법 제25조의 규정에 의하면 의사가 아니면 의료행위를 하지 못하게 되어 있고 의료행위라고 함은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행위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풀이하여 보면 의학의 전문적 지식을 기초로 하는 경험과 기능으로써 진찰, 검안, 처방, 투약 또는 외과수술 등의 행위를 말하는 것이라고 할 것인 바, 이는 의사의 의료행위가 고도의 전문적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사람의 생명, 신체 또는 일반공중위생에 밀접하고 중대한관계가 있기 때문에 의료법은 의사가 되는 자격에 대한 엄격한 요건을 규정하는 한편 구 의료법 제25조에서 의료행위를 의사에게만 독점허용하고 일반인이 이를 하지 못하게 금지하여 의사아닌 사람이 의료행위를 하므로써 생길 수 있는 사람의 생명, 신체나 일반공중위생상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의료행위의 내용에 관하여는 이에 관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 법조문이 없으므로 결국은 구체적 사안에 따라 이를 정할 수 밖에 없는 것인 바 위의 개념은 의학의 발달과 사회의 발전 등에 수반하여 변화될 수 있는 것이어서 앞에서 말한 의료법의 목적 즉 의학상의 전문지식이 있는 의사가 아닌 일반사람에게 어떤 시술행위를 하게 하므로서 사람의 생명, 신체상의 위험이나 일반공중위생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여부 등을 감안한 사회통념에 비추어 의료행위 내용을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기록에 의하여 본건을 검토하여 보면 성형수술에는 복구성형, 교정성형외에 소위 미용성형도 포함되는데 우리나라 의사들이 종전부터 성형시술을 하여 오다가 1965년도에 대한성형외과협회가 창설되면서부터는 성형수술 분야까지 생긴 사실을 원심증인 공소외 3과 공소외 4의 진술에 의하여 알 수 있고, 또 의료법 시행규칙을 보면 1973.10.17자 보건사회부령 제420호로서 의료법시행규칙개정령을 공포하기 전까지는 성형외과가 의사가 표방할 수 있는 전문과목이 되지 못하였고 위 보건사회부령 제426호가 공포되면서부터 의사가 성형외과를 전문과목으로 표방하고(동 시행규칙 제53조) 진료과목으로 표시( 같은 시행규칙 제30조)할 수 있게 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며 또 본건 공소사실의 적시에 의하면 피고인이 시술하였다는 코높이기 수술은 코에 마취약을 주입하고 칼로 코밑을 절개한 후 연골을 삽입하고 봉합하는 방법으로서 하였다는 것인 바, 위 사실에 의하면 본건 공소사실 적시의 피고인의 코높이기 시술일자가 구 의료법 제25조의 구의료법시행규칙의 적용을 받게되던 때 이어서 그 당시에는 의사가 성형외과를 전문과목으로 표방하거나 진료과목으로 표시할 수는 없었다 하더라도 성형외과를 전문과목이나 진료과목으로 표방 또는 표시할 수 있는 여부만이 코높이기 수술이 의료행위에 속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 할 것이며 그 당시에 이미 의사들이 미용성형 수술을 시행하고 있었고 성형외과 협회까지 생기고 있었던 의학계의 실정과 공소사실 적시의 피고인의 코높이기 수술인 미용성형수술이 마취약을 주입하고 코밑을 절개하며 연골을 삽입하여 봉합하는 등의 의료기술의 시행방법으로서 행하여 지고 또 코의 절개과정이나 연골의 삽입, 봉합과정에서 미균이 침입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어서 이러한 코높이기 수술의 방법 및 행위의 태양을 함께 감안하면 외과분야에 있어서 의료행위를 이미 발생한 상처 등에 대한 외과적 처치만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공소장 적시의 피고인의 코높이기 성형수술행위도 질병의 치료행위의 범주에 넣어 의료행위가 되는 것으로 해석함에 타당하다 할 것이다. 그렇다면 원판결은 의료법의 법리를 오해한 것으로서 파기를 면하지 못할 것이고 이에 저촉되는 종전의 당원판례(1972.3.28선고 72도342 판결)는 이 판결로서 폐기하는 것이니 검사의 상고논지는 이유있다. 그러므로 관여 법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원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인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복기(재판장) 홍순엽 이영섭 주재황 김영세 민문기 양병호 이병호 한환진 임항준 안병수 김윤행 이일규

관련 논문 43
환자의 의료정보의 법적 보호에 관한 고찰
이봉문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3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과 의료법 위반에 관한 판례 고찰
전병주 외 1명 |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2023
우리나라 의료법의 법해석 방법론 - 의료법 판결을 중심으로 -
한정미 | 한국법학회 | 2022
문신시술에 대한 사회통념의 변화와 이후의 과제
박정일 |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2022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이해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20. 8. 13. 선고 2017다24<!HS>891<!HE>9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백경희 | 한국소비자원 | 2022
2015년 「의료법」 개정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언 - 간호사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차유경 | 한국법학회 | 2021
의사의 의료행위가 ʻ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ʼ에 해당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관하여
백원기 | 대검찰청 | 2021
원격의료의 법적 쟁점
이호용 | 한양법학회 | 2021
한・양방 협진제도에 관한 고찰
王菲 | 법학연구원 | 2021
문신시술의 비범죄화에 대한 연구
도규엽 | 법학연구소 | 2021
로봇수술 관련 법적책임에 관한 연구 - 민사법상 책임을 중심으로 -
김훈주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2020
미용서비스와 의료행위의 경계에 관한 고찰: 문신행위에 대한 일본 최고재판소 결정의 시사점과 우리나라 소비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백경희 외 1명 | 한국소비자원 | 2020
낙태죄 개정 시 고려사항-의료인의 권리를 중심으로-
심영주 외 1명 | 한국형사정책학회 | 2020
의료행위와 특허보호체제에 관한 연구
이봉문 외 1명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9
일본에서의 문신시술행위 규제에 관한 법적 고찰 : 문신시술행위의 의료행위성과 직업의 자유에 대한 침해를 중심으로
박용숙 외 1명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2019
미용성형수술과 사과법 및 디스클로져법 등의 도입에 관한 연구
김성은 외 1명 | 한국의료법학회 | 2019
산후조리원의 신생아 집단 관리행위에 관한 고찰
백경희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8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 또는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우리나라 판례의 태도를 중심으로 -
장연화 외 1명 | 대검찰청 | 2018
비급여의료에 관한 환자유인행위의 판단기준에 관한 고찰
백경희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8
醫療公法(Medical Public Law)의 基礎로서의 (齒科)醫療行爲 ― 의료행위의 개념 및 범주에 대한 공법적 고찰 ―
안동인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2018
중간적·혼합적·중첩적 의료영역과 치과의사의 무면허 의료행위 : 대법원 2016. 7. 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도규엽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2017
미용성형수술에 관한 면허 외 의료행위에 관한 고찰
백경희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7
치과의사의 면허범위와 치과의료행위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6.07.21.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황만성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2017
의료행위에서 감독과실에 관한 연구
류기환 | 한국법학회 | 2015
의료인과 비의료인 구분에 대한 소고 : 안전성 원칙에 대하여
윤태욱 외 1명 | 한국의철학회 | 2015
미용성형의료 - 우리 판결례와 독일 판결례의 비교·분석적 소고 -
안법영 | 대한의료법학회 | 2015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백경희 외 1명 | 한국의료법학회 | 2014
세이프 약국 시범운영에 관한 검토
김한나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2013
대체의학의 제도화를 위한연구 : 법률정보와 공인화 중심으로
강경수 외 1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 2013
의사와 한의사의 업무 갈등 사례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이백휴 외 1명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2011
의료행위의 상업화와 법적 한계에 관한 서론적 고찰
박은경 외 1명 | 법학연구원 | 2011
의료직업의 규제 : 의사와 한의사의 직역한계
선정원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2010
2009년 의료관련 주요판례에 대한 조사ㆍ분석
임지연 외 3명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2010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정도희 | 법학연구원 | 2010
유사의료행위에 관한 법적 문제와 개선방안
김한나 외 1명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2009
판례분석을 통한 한방의료행위개념의 법적 근거 고찰
이미선 외 1명 | 한국한의학연구원 | 2009
무면허 의료행위에 있어서‘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의 판단기준
김성천 외 1명 | 법학연구원 | 2009
유사의료행위에 관한 법적 검토
김한나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2007
被告人에게 不利한 判例變更과 遡及效禁止의 問題
하태영 외 1명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2006
의료인과 환자간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적ㆍ제도적 방안
황만성 외 1명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2005
[제1차시험 예상논점정리:刑法(1)]
정세훈 | 고시계사 | 2004
의료과오의 형사법적 책임
정현미 외 1명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1997
速報/判決要旨
편집부 | 한국사법행정학회 | 1992